DATALINK

데이터

프레임, 시각화, 설명

모델링

연구계획, 확률모델, 통계모델, 실험설계

데이터분석

모수비교

프레임

표본종류, 확률변수 가정

확률모델

새로운 확률변수, 표집

통계모델

검정확률분포, 검정통계량

모수비교

귀무가설, 검정

대응표본: 두 집단

등분산성, 독립성, 정규성

값차이

표본평균 중심극한정리

t분포

차이평균과 오차의 비

지방함량 차이평균은 0

유의확률과 유의수준으로 판정

정규분포

$$f(y \, ; \mu_Y, \sigma_Y^2)=\dfrac{1}{\sqrt{2\pi}\sigma_Y} \mathrm{exp} \left(-\dfrac{(y-\mu_Y)^2}{2\sigma_Y^2}\right)$$

여기서, $y$는 정규분포를 나타내는 확률변수, $Y$의 값(변량)

$\mu_Y$는 확률변수, $Y$의 기대값: 집단의 모평균

$\sigma_Y^2$는 확률변수, $Y$의 모분산: 집단의 모분산

확률변수 t

$$t = \dfrac{Z}{\sqrt{\dfrac{V}  {\nu}}}$$

여기서, $Z$는 표준정규분포를 나타내는 확률변수
$V$는 자유도 $\nu$의 $\chi^2$분포를 나타내는 확률변수
$\nu$는 $V$의 자유도

t분포

$$f(t \, ; \nu)=\dfrac{\Gamma \left({\frac{\nu +1}{2}}\right)}{\sqrt{\nu \pi}\Gamma \left(\dfrac{\nu }{2}\right)}\left(1+\dfrac {t^2}{\nu }\right)^{-\frac{\nu +1}{2}}$$

여기서, $f(\,\,)$는 확률밀도함수

$t$는 t분포를 나타내는 확률변수의 값(변량)

$\nu$는 자유도로 모수(매개변수, parameter)

$\Gamma(\,\,)$는 감마함수

대응표본 차이의 확률분포 (확률변수의 정규성가정에 의해 $f$는 정규분포)

$$f(d_i \, ; 0, \sigma_D^2)=\dfrac{1}{\sqrt{2\pi}\sigma_D} \mathrm{exp} \left(-\dfrac{d^2_i}{2 \sigma_D^2}\right)$$

여기서, $d_i$는 두 집단의 $i$번째 대응된 확률변수값의 차이: $d_i=y_{i1}-y_{i2}$

$d_i$는 연속형 확률변수: $d_i=D$ if $(i=1) \rightarrow (i=\infty)$

$D$는 연속형 확률변수

$\sigma_D^2$은 확률변수 $D$의 모분산

대응표본 차이의 분산 (대응표본은 공분산이 존재)

$$\sigma^2_{D}=\sigma^2_{(Y_{1}-Y_{2})} = \sigma^2_{Y_{1}} + \sigma^2_{Y_{2}}- 2\sigma_{Y_{1} Y_{2}}$$

여기서, $D$는 확률변수이며 대응된 확률변수인 $Y_{1}$과 $Y_{2}$의 차이: $D=Y_1-Y_2$

$\sigma^2_{D}$는 확률변수 $D$의 모분산

$\sigma^2_{Y_{1}}$는 확률변수 $Y_1$의 모분산

$\sigma^2_{Y_{2}}$는 확률변수 $Y_2$의 모분산

$\sigma_{Y_{1} Y_{2}}$는 대응된 확률변수인 $Y_1$과 $Y_2$의 모공분산

$${\rm Var}[D]={\rm Var}[Y_1-Y_2]= {\rm Var}[Y_1] + {\rm Var}[Y_2] – 2{\rm Cov}[Y_1, Y_2]$$

여기서, $D$는 대응된 확률변수인 $Y_1$과 $Y_2$의 차이이며 확률변수: $D=Y_1-Y_2$

${\rm Var}[D]$는 확률변수 $D$의 분산

${\rm Var}[Y_1]$는 확률변수 $Y_1$의 분산

${\rm Var}[Y_2]$는 확률변수 $Y_2$의 분산

${\rm Cov}[Y_1, Y_2]$는 대응된 확률변수인 $Y_1$과 $Y_2$의 공분산이며 확률변수

코시-슈바르츠 부등식

$$|\text{Cov}[Y_1, Y_2]| \leq \sqrt{\text{Var}[Y_1] \cdot \text{Var}[Y_2]}$$

$$(E[Y_1Y_2])^2 \leq E[Y_1^2] \cdot E[Y_2^2]$$

코시-슈바르츠 부등식을 확률변수차이에 적용

$$\text{Var}[Y_1] + \text{Var}[Y_2] – 2\sqrt{\text{Var}[Y_1] \cdot \text{Var}[Y_2]}$$

$$ \leq \text{Var}[D] $$

$$\leq \text{Var}[Y_1] + \text{Var}[Y_2] + 2\sqrt{\text{Var}[Y_1] \cdot \text{Var}[Y_2]}$$

여기서, $D$는 대응된 확률변수인 $Y_1$과 $Y_2$의 차이이며 확률변수: $D=Y_1-Y_2$

${\rm Var}[D]$는 확률변수 $D$의 모분산

${\rm Var}[Y_1]$는 확률변수 $Y_1$의 모분산

${\rm Var}[Y_2]$는 확률변수 $Y_2$의 모분산

${\rm Cov}[Y_1, Y_2]$는 대응된 확률변수 $Y_1$과 $Y_2$의 공분산이며 확률변수

대응표본 차이평균(mean difference) 표집의 확률분포 (확률변수의 정규성가정에 의해 $f$는 정규분포)

$$f(\bar {d} \, ; 0, \sigma^2_{\bar D})=\dfrac{1}{\sqrt{2\pi}\sigma_{\bar D}}\mathrm{exp} \left(-\dfrac{{\bar d}^2}{2\sigma^2_{\bar D}}\right)$$

여기서, $\bar {d}$는 차이의 평균값

$\sigma_{\bar D}^2$은 확률변수 $\bar D$의 모분산

대응표본 Z검정의 검정통계량 (귀무가설)

$$z = \dfrac{\bar{d}-d_0}{\dfrac{\sigma_D}{\sqrt{n}}}$$

여기서, $\bar d$는 차이평균의 관측값: $\bar d=\bar y_{\cdot 1}-y_{\cdot 2}$

$d_0$는 귀무가설로 주어지는 모평균차이: $\mu_{Y_1}-\mu_{Y_2}=d_0$

$\sigma_D$는 확률변수 $D$의 모표준편차

$n$은 대응표본크기(대응쌍의 수)

대응표본 t검정의 검정통계량 (귀무가설): Z검정의 $\sigma_{D}$를 $s_D$로 대체

$$t = \dfrac{\bar{d}-d_0}{\dfrac{s_D}{\sqrt{n}}}$$

여기서, $\bar d$는 차이평균의 관측값: $\bar d=\bar y_{\cdot 1}-y_{\cdot 2}$

$d_0$는 귀무가설로 주어지는 모평균차이: $\mu_{Y_1}-\mu_{Y_2}=d_0$

$s_D$는 확률변수 $D$의 표본표준편차

$n$은 대응표본크기(대응쌍의 수)

대응표본 t검정표

귀무가설($H_0$)검정통계량대립가설($H_1$)귀무가설 기각역
$$\mu_{Y_1}-\mu_{Y_2}=d_0$$$$t=\dfrac{\bar{d}-d_0}{\dfrac{s_D}{\sqrt{n}}}$$$$\mu_{Y_1}-\mu_{Y_2}\gt d_0$$$$\dfrac{\bar{d}-d_0}{\dfrac{s_D}{\sqrt{n}}}\gt t_{n-1\ ;\ \alpha}$$
$$\\mu_{Y_1}-\mu_{Y_2}\lt d_0$$$$\dfrac{\bar{d}-d_0}{\dfrac{s_D}{\sqrt{n}}}\lt-t_{n-1\ ;\ \alpha}$$
$$\\mu_{Y_1}-\mu_{Y_2}\ne d_0$$$$\left|\dfrac{\bar{d}-d_0}{\dfrac{s_D}{\sqrt{n}}}\right|\gt t_{n-1\ ;\ \frac{\alpha}{2}}$$
독립표본: 두 집단

등분산성, 독립성, 정규성

평균차이

표본평균 중심극한정리

t분포

평균차이와 오차의 비

등심단면적 평균차이는 0

유의확률과 유의수준으로 판정

정규분포

$$f(y \, ; \mu_Y, \sigma_Y^2)=\dfrac{1}{\sqrt{2\pi}\sigma_Y} \mathrm{exp} \left(-\dfrac{(y-\mu_Y)^2}{2\sigma_Y^2}\right)$$

여기서, $y$는 정규분포를 나타내는 확률변수, $Y$의 값(변량)

$\mu_Y$는 확률변수, $Y$의 기대값: 집단의 모평균

$\sigma_Y^2$는 확률변수, $Y$의 모분산: 집단의 모분산

확률변수 t

$$t = \dfrac{Z}{\sqrt{\dfrac{V}  {\nu}}}$$

여기서, $Z$는 표준정규분포를 나타내는 확률변수
$V$는 자유도 $\nu$의 $\chi^2$분포를 나타내는 확률변수
$\nu$는 $V$의 자유도

t분포

$$f(t \, ; \nu)=\dfrac{\Gamma \left({\frac{\nu +1}{2}}\right)}{\sqrt{\nu \pi}\Gamma \left(\dfrac{\nu }{2}\right)}\left(1+\dfrac {t^2}{\nu }\right)^{-\frac{\nu +1}{2}}$$

여기서, $t$는 t분포를 나타내는 확률변수의 값(변량)

$\nu$는 자유도

$\Gamma(\,\,)$는 감마함수

독립표본 차이의 확률분포 (확률변수의 정규성가정에 의해 $f$는 정규분포)

$$f(d \, ; 0, \sigma_D^2)=\dfrac{1}{\sqrt{2\pi}\sigma_Y} \mathrm{exp} \left(-\dfrac{d^2}{2\sigma_D^2}\right)$$

여기서, $d$는 독립된 두 확률변수값인 $y_1$과 $y_2$ 의 차이이며 연속형 확률변수인 $D$의 확률변수값: $d=y_1-y_2$

$D$는 독립된 두 확률변수인 $Y_1$과 $Y_2$의 차이이며 확률변수: $D=Y_1-Y_2$

$\sigma_D^2$은 확률변수, $D$의 모분산: $\sigma_D^2=\sigma_{Y_1}^2+\sigma_{Y_2}^2$

독립표본 차이의 분산 (독립표본의 공분산은 0)

$$\sigma^2_{D}=\sigma^2_{(Y_{1}-Y_{2})} = \sigma^2_{Y_{1}} + \sigma^2_{Y_{2}}$$

여기서, $D$는 독립된 두 확률변수인 $Y_{1}$과 $Y_{2}$의 차이이며 확률변수

$\sigma^2_{D}$는 확률변수 $D$의 분산

$\sigma^2_{Y_{1}}$는 확률변수 $Y_1$의 분산

$\sigma^2_{Y_{2}}$는 확률변수 $Y_2$의 분산

$${\rm Var}[D] = {\rm Var}[Y_1] + {\rm Var}[Y_2]$$

여기서, $D$는 독립된 두 확률변수인 $Y_1$과 $Y_2$의 차이이며 확률변수

${\rm Var}[D]$는 확률변수 $D$의 분산

${\rm Var}[Y_1]$는 확률변수 $Y_1$의 분산

${\rm Var}[Y_2]$는 확률변수 $Y_2$의 분산

독립표본 평균차이(difference of means)의 확률분포

$$\sigma^2_{\bar D}=\sigma^2_{(\bar{Y_{1}}-\bar{Y_{2}})} = \sigma^2_{\bar{Y_{1}}} + \sigma^2_{\bar{Y_{2}}}$$

$$\therefore \dfrac{\sigma_{D}^2}{n}=\dfrac{\sigma_{Y_1}^2}{n_1}+\dfrac{\sigma_{Y_2}^2}{n_2}$$

여기서, $\bar D$는 독립된 확률변수인 $Y_{1}$과 $Y_{2}$의 평균차이(difference of means)이며 확률변수: $\bar D=\bar{Y_{1}}-\bar{Y_{2}}$; $\bar d=\bar{d_{1}}-\bar{d_{2}}$

$\sigma^2_{\bar D}$는 확률변수 $\bar D$의 분산

$\sigma^2_{\bar{Y_{1}}}$는 확률변수 $\bar{Y_1}$의 분산

$\sigma^2_{\bar{Y_{2}}}$는 확률변수 $\bar{Y_2}$의 분산

$D$는 독립된 두 확률변수인 $Y_{1}$과 $Y_{2}$의 차이이며 확률변수

$\sigma^2_{D}$는 확률변수 $D$의 분산

$\sigma^2_{Y_{1}}$는 확률변수 $Y_1$의 분산

$\sigma^2_{Y_{2}}$는 확률변수 $Y_2$의 분산

$n$은 전체표본크기: $n=n_1+n_2$

$n_1$, $n_2$는 전체표본내 독립된 두 집단의 표본크기: $n_1+n_2=n$

독립표본 평균차이(difference of means) 표집의 확률분포 (확률변수의 정규성가정에 의해 $f$는 정규분포)

$$f(\bar {d} \, ; 0, \sigma^2_{\bar D})=\dfrac{1}{\sqrt{2\pi}\sigma_{\bar D}}\mathrm{exp} \left(-\dfrac{{\bar d}^2}{2\sigma^2_{\bar D}}\right)$$

여기서, $\bar {d}$는 평균차이값: $\bar d=\bar y_{1}-\bar y_{2}$

$\sigma_{\bar D}^2$은 확률변수 $\bar D$의 모분산

독립표본 Z검정의 검정통계량 (등분산가정, 귀무가설)

$$z =\dfrac{(\bar{y}_1 – \bar{y}_2)-d_0}{\dfrac{\sigma_{D}}{\sqrt{n}}}=\dfrac{(\bar{y}_1 – \bar{y}_2)-d_0}{\sqrt{\dfrac{\sigma^2_{Y_1}}{n_1} + \dfrac{\sigma^2_{Y_2}}{n_2}}}=\dfrac{(\bar{y}_1 – \bar{y}_2)-d_0}{{\sigma_{Y}}\sqrt{\dfrac{1}{n_1} + \dfrac{1}{n_2}}}$$

여기서, $\bar{y}_1$, $\bar{y}_2$는 독립된 두 집단의 표본평균의 관측값

$d_0$는 귀무가설로 주어지는 모평균차이: $d_0=\mu_{Y_2}-\mu_{Y_1}$

$n$은 전체표본크기: $n=n_1+n_2$

$n_1$, $n_2$는 전체표본내 독립된 두 집단의 표본크기: $n_1+n_2=n$

등분산가정 (집단내분산은 같다): $ \sigma_{Y_1}^2=\sigma_{Y_2}^2=\sigma_Y^2$

독립표본 t검정의 검정통계량 (등분산가정, 귀무가설): Z검정의 $\sigma_{Y}$를 $s_p$로 대체

$$t =\dfrac{(\bar{y}_1 – \bar{y}_2)-d_0}{s_p \sqrt{\dfrac{1}{n_1} + \dfrac{1}{n_2}}}$$

여기서, $\bar{y}_1$, $\bar{y}_2$는 독립된 두 집단의 표본평균의 관측값

$d_0$는 귀무가설로 주어지는 모평균차이: $d_0=\mu_{Y_2}-\mu_{Y_1}$

$n_1$, $n_2$는 독립된 두 집단의 표본크기: $n_1+n_2=n$

$n$은 전체표본크기: $n=n_1+n_2$

집단내변동 등식: $((n_1-1)+(n_2-1))\dfrac{s_p^2}{\sigma_Y^2}=(n_1-1)\dfrac{s_{Y_1}^2}{\sigma_{Y_1}^2}+(n_2-1)\dfrac{s_{Y_2}^2}{\sigma_{Y_2}^2}$

등분산가정 (집단내분산은 같다): $\sigma_Y^2= \sigma_{Y_1}^2=\sigma_{Y_2}^2$

통합표본분산 (pooled variance): $s_p = \sqrt{\dfrac{(n_1-1)s_{Y_1}^2 + (n_2-1)s_{Y_2}^2}{n_1 + n_2 – 2}}$

$s_{Y_1}^2$, $s_{Y_2}^2$는 독립된 두 집단의 표본분산

독립표본 t검정표: 두 모평균 비교

귀무가설($H_0$)검정통계량대립가설($H_1$)귀무가설 기각역
$\mu_{Y_1} – \mu_{Y_2}=d_0$

$$t=\dfrac{(\bar{y}_1-\bar{y}_2)-d_0}{s_p\sqrt{\dfrac{1}{n_1}+\dfrac{1}{n_2}}}$$

여기서,  $s_p=\sqrt{\dfrac{(n_1-1)s_{1}^2+(n_2-1)s_{2}^2}{n_1+n_2-2}}$

$\mu_{Y_1} – \mu_{Y_2} \gt d_0$$t \lt -t_{n-2\ ;\  \alpha}$
$\mu_{Y_1} – \mu_{Y_2} \lt d_0$$t \gt t_{n-2\ ;\ \alpha}$
$\mu_{Y_1} – \mu_{Y_2} \ne d_0$$\mid {t} \mid \gt t_{n-2\ ;\ \frac{\alpha}{2}}$

독립표본 F검정표: 집단(group)이 2개인 일원분산분석 F검정(집단간분산과 집단내분산 비교) 

귀무가설($H_0$)검정통계량대립가설($H_1$)귀무가설 기각역

독립된 두 집단의 모평균이 같다.

$\mu_{1}=\mu_{2}=\mu_0$

$\beta_{0,1}=\beta_{0,2}=\beta_0$

$$\therefore \sigma_B^2=0$$

$F=\dfrac{s_{B}^2}{s_{W}^2}=\dfrac{MS_{B}}{MS_{W}}$

$\sigma_B^2 \neq 0$인 경우 $\sigma_B^2 $과 $\sigma_W^2$의 크기 비교

$t=\sqrt{F}$
$$\sigma_B^2\gt\sigma_W^2$$$$\dfrac{s_B^2}{s_W^2}\gt F_{n_B-1,\ n_W-1\ ;\ \alpha}$$
$$\sigma_B^2\lt\sigma_W^2$$$$\dfrac{s_B^2}{s_W^2}\lt\ F_{n_B-1,\ n_W-1\ ;\ \alpha}$$
$$\sigma_B^2\ne\sigma_W^2$$$$\dfrac{s_B^2}{s_W^2}\gt F_{n_B-1,\ n_W-1\ ;1-\frac{\alpha}{2}}$$ $$\dfrac{s_B^2}{s_W^2}\lt F_{n_B-1,\ n_W-1\ ;\ \frac{\alpha} {2}}$$
독립표본: 여러 집단

등분산성, 독립성, 정규성

집단간분산/집단내분산

표본분산 중심극한정리

F분포

신호와 노이즈의 비

도체중의 지역에 따른 신호는 0

유의확률과 유의수준으로 판정

정규분포

$$f(y \, ; \mu_Y, \sigma_Y^2)=\dfrac{1}{\sqrt{2\pi}\sigma_Y} \mathrm{exp} \left(-\dfrac{(y-\mu_Y)^2}{2\sigma_Y^2}\right)$$

여기서, $y$는 정규분포를 나타내는 확률변수, $Y$의 값(변량)

$\mu_Y$는 확률변수, $Y$의 기대값: 집단의 모평균

$\sigma_Y^2$는 확률변수, $Y$의 모분산: 집단의 모분산

확률변수 카이제곱

$$\chi^2= Z_1^2 + Z_2^2 + \cdots = \sum\limits_{i=1}^{k}Z_{i}^2$$

여기서, $Z_i$는 표준정규분포 확률변수
$k$는 자유도: 표준정규분포 확률변수 개수

카이제곱분포

$$f(x \, ; k)=\dfrac{1}{2^{\frac{k}{2}}\Gamma\left(\frac{k}{2}\right)}x^{\frac{k}{2}-1}e^{-\frac{x}{2}}$$

여기서, $x$는 카이제곱분포를 나타내는 확률변수의 값(변량)

$k$는 자유도: $Z^2$의 개수

확률변수 F

$$F = \dfrac{\frac{\chi^2_1}{df_1}}{\frac{\chi^2_2}{df_2}}$$

여기서, $F$는 F분포를 나타내는 확률변수

$\chi^2_1$과 $\chi^2_2$는 카이제곱분포를 나타내는 확률변수

$df_1$과 $df_2$는 $\chi^2_1$과 $\chi^2_2$가 나타내는 카이제곱분포의 자유도

F분포

$$f(x; df_1, df_2) = \frac{\left(\dfrac{df_1}{df_2}\right)^{\frac{df_1}{2}} x^{\frac{df_1}{2} – 1} \left(1 + \frac{df_1}{df_2}x\right)^{-\frac{df_1 + df_2}{2}}}{B\left(\frac{df_1}{2}, \frac{df_2}{2}\right)}
$$

여기서, $x$는 F분포를 나타내는 확률변수의 값(변량)

$df_1$과 $df_2$는 분자와 분모의 카이제곱분포의 자유도

$B(\,\,)$는 베타함수

$B(\frac{df_1}{2}, \frac{df_2}{2}) = \frac{\Gamma(\frac{df_1}{2}) \Gamma(\frac{df_2}{2})}{\Gamma(\frac{df_1}{2} + \frac{df_2}{2})}$

$\Gamma(\,\,)$는 감마함수

표본의 변동: Sample variation

$$SS_{Sample} =n \cdot{\bar y}^2+SS_{T}$$

여기서, $SS_{Sample}$는 0을 기준으로하는 표본의 변동

$\bar{y}$는 표본평균: bias

$n$은 표본크기

$SS_{T}$는 표본평균을 기준으로 하는 표본내 변동

변동분해공식: Variation decomposition formula

$$SS_{T} =SS_{B}+SS_{W}$$

여기서, $SS_{T}$는 표본평균 기준의 개체의 변동: 전체변동

$SS_{B}$는 표본평균 기준의 집단의 변동: 집단간변동

$SS_{W}$는 집단평균 기준의 개체의 변동: 집단내변동

자유도분해공식: Decomposition of $df$ formula

$$df_{T} =df_{B}+df_{W}$$

$$(n-1) =(k-1)+(n-k)$$

여기서, $df_{T}$는 표본의 자유도: $n-1$

$df_{B}$는 표본내 집단의 자유도: $k-1$

$df_{W}$는 표본내 개체의 자유도: $n-k$ 

$n$은 표본크기: 표본내 개체의 수

$k$는 집단의 수: 표본내 집단의 수

전체변동: Total variation

$$SS_T= \sum\limits_{j=1}^{k}\sum\limits_{i=1}^{n_j} (y_{ij} – \bar{y})^2$$

여기서, $SS_T$는 표본평균을 기준으로 하는 표본내 변동

$k$는 집단수

$n_j$는 $j$번째 집단의 표본크기

$y_{ij}$는 확률변수 $Y$의 $j$번째 집단의 $i$번째 값

$\bar y$는 표본평균

집단간변동: Between-group variation

$$SS_{B} = \sum\limits_{j=1}^{k} n_j (\bar{y}_j – \bar{y})^2$$

여기서, $SS_{B}$은 표본내 집단간변동

$k$는 집단수

$n_j$는 $j$번째 집단의 표본크기

$\bar {y}_{j}$는 $j$번째 집단의 표본평균

$\bar y$는 표본평균

집단내변동: Within-group variation

$$SS_W = \sum_{j=1}^{k} \sum_{i=1}^{n_j} (y_{ij} – \bar{y}_j)^2$$

여기서, $SS_W$는 표본내 집단내변동

$k$는 집단수

$n_j$는 $j$번째 집단의 표본크기: $\sum\limits_{j=1}^{k}n_{k}=n$; $n$은 표본크기

$y_{ij}$는 확률변수 $Y$의 $j$번째 집단의 $i$번째 값

$\bar {y}_{j}$는 $j$번째 집단의 표본평균

집단간분산: Between-group mean square

$$MS_{B} = \dfrac{SS_B}{k-1}$$

여기서, $MS_{B}$는 집단간분산

$SS_{B}$는 집단간변동

$k$는 표본내 집단수

$(k-1)$은 표본내 집단의 자유도: $d_{B}$

집단내분산: Within-group mean square

$$MS_W = \dfrac{SS_W}{n-k}$$

여기서, $MS_W$는 집단내분산

$SS_W$는 집단내변동

$n$은 표본크기: $n=\sum\limits_{j=1}^{k}n_j$

$k$는 표본내 집단수

$(n-k)$는 표본내 개체의 자유도: $d_{W}$

표본에서 집단간변동의 표준화: 카이제곱($\chi^2_{B}$)

$$\chi^2_{B}={df_{B}}\dfrac{s_{B}^2}{\sigma_{B}^2}=(k-1)\dfrac{s_{B}^2}{\sigma_{B}^2}$$

여기서, $s_{B}^2$는 표본집단간분산 

$\sigma_{B}^2$은 모집단간분산

$df_{B}$는 표본내 집단의 자유도: $df_{B}=k-1$

$k$는 표본내 집단수

표본에서 집단내변동의 표준화: 카이제곱($\chi^2_{W}$)

$$\chi^2_{W}={df_{W}}\dfrac{s_{W}^2}{\sigma_{W}^2}=(n-k)\dfrac{s_{W}^2}{\sigma_{W}^2}$$

여기서, $s_{W}^2$는 표본집단내분산

$\sigma_{W}^2$은 모집단내분산

$df_{W}$는 표본내 개체의 자유도: $df_{W}=n-k$

$n$은 표본내 개체수

$k$는 표본내 집단수

표본에서 확률변수 F

$$F= \dfrac{\dfrac{\chi^2_{B}}{df_{B}}}{\dfrac{\chi^2_{W}}{df_{W}}}=\dfrac{\dfrac{s_B^2}{\sigma_B^2}}{\dfrac{s_W^2}{\sigma_W^2}}$$

등분산가정

독립동일분포(Independent and Identically Distributed): 실현되기 전 개체의 확률분포의 분산은 같다.

$\rightarrow$ 등분산가정(등분산성): 실현된 모든 집단의 집단내분산은 같다. 

귀무가설: 표본내 모든 집단(group)의 모평균이 같다

모든 집단의 모평균이 같다.

$\rightarrow$ 개체의 변동으로 인한 모집단내분산(모노이즈)과 모집단간분산(모신호)이 등가

$\rightarrow \sigma_W^2=\sigma_B^2$

F 검정통계량

$$F= \dfrac{\dfrac{\chi^2_{B}}{df_{B}}}{\dfrac{\chi^2_{W}}{df_{W}}}=\dfrac{\dfrac{s_B^2}{\sigma_B^2}}{\dfrac{s_W^2}{\sigma_W^2}}=\dfrac{MS_{B}}{MS_{W}}$$

여기서, $\sigma_{W}^2=\sigma_{B}^2$: 귀무가설

$\sigma_{B}^2$는 모집단간분산

$\sigma_{W}^2$는 모집단내분산

$s_{B}^2$는 표본집단간분산: $s_{B}^2=MS_{B}=\dfrac{SS_{B}}{k-1}$

$k$는 표본내 집단수

$s_{W}^2$는 표본집단내분산: $s_{W}^2=MS_{W}=\dfrac{SS_W}{n-k}$

$n$은 표본크기

일원분산분석 F검정표(집단간분산과 집단내분산 비교) : 독립된 여러 집단의 모평균 비교-정규분포 가정-등분산 가정

귀무가설$(H_0)$검정통계량대립가설$(H_1)$귀무가설 기각역

독립된 여러 집단의 모평균($\mu_i$)이 같다.

$\mu_{1}=\mu_{2}=\cdots=\mu_{k}=\mu_0$

$\beta_{0,1}=\beta_{0,2}=\cdots=\beta_{0,k}=\beta_0$

여기서, $\mu_i$는 $i$번째 집단의 모평균

$\beta_{0,i}$는 $i$번째 집단의 모평균

$k$는 표본내 집단의 수

$F=\dfrac{s_{B}^2}{s_{W}^2}=\dfrac{MS_{B}}{MS_{W}}$

적어도 한 $\mu_{i}$는 $\mu_0$보다 크다.

적어도 한 $\beta_{0,i}$는 $\beta_0$보다 크다.

검정통계량으로 한 $\mu_{i}$가 $\mu_0$보다 큰 지 알 수 없다.

검정통계량으로 한 $\beta_{0,i}$가 $\beta_0$보다 큰 지 알 수 없다.

적어도 한 $\mu_{i}$는 $\mu_0$보다 작다.

적어도 한 $\beta_{0,i}$는 $\beta_0$보다 작다.

검정통계량으로 $\mu_{i}$가 $\mu_0$보다 작은 지 알 수 없다.

검정통계량으로 한 $\beta_{0,i}$가 $\beta_0$보다 작은 지 알 수 없다.

적어도 한 $\mu_{i}$는 $\mu_0$이 아니다.

적어도 한 $\beta_{0,i}$는 $\beta_0$이 아니다.

$F>F_{k-1,\ n-k\ ;\ \alpha}$

여기서, $k$는 표본내 집단의 수

$n$은 표본내 개체의 수: 표본크기

$\alpha$는 유의수준